Published on

단일 인스턴스로 구성된 레디스에서의 분산 락 구현

Authors
  • avatar
    Name
    윤종원
    Twitter

분산락이란

분산 락(Distributed Lock)은 여러 프로세스가 상호 배타적으로 공유되는 자원을 다뤄야 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 여러 스레드에 대해서 락을 걸어야 한다면 언어에서 제공해주는 Synchoronize 기능이나 Lock 등을 활용할 수 있지만 여러 프로세스 또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서버에서 Lock을 걸어야 한다면 이런 방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대신 여러 서버 간의 세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 Redis를 사용하는 것처럼 분산 락을 구현하기 위해서 레디스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레디스 공식 문서에서 레디스로 분산 락 매니저(DLM: Distributed Lock Manager)를 구현한 라이브러리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라이브러리마다 조금씩 다른 점근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복잡한 구현 방식을 택하는 대신 간단한 접근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낮은 보증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img

이 글은 레디스 공식 문서에서 설명하는 단일 인스턴스에서의 분산 락 구현 방법과 문제점, 그리고 효율적인 분산 락 구현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단일 인스턴스로 구성된 비분산 시스템에서의 분산 락 알고리즘부터 이를 활용한 분산 시스템에서의 분산 락 알고리즘 Redlock을 소개하고 있으니 이 글과 함께 살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분산 락의 속성

우리가 구현하려는 분산 락은 아래 세가지 속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 Safety Property
  • Liveness Property A
  • Liveness Property B

Safety Property는 특정 순간에 한 클라이언트만 락을 획득할 수 있다는 상호 배제성을 의미합니다. 동시에 여러 클라이언트가 락을 획득하려 했을 때 한 개 이상의 클라이언트가 락을 획득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개념입니다. 락의 기본적인 역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Liveness Property A는 만약 락을 획득한 클라이언트에 장애가 발생해 정상적으로 락을 반납하지 못했을 때 영영 다른 클라이언트들이 락을 획득할 수 없는 데드락이 발생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락을 가져가서 오랫동안 반납하지 않을 때 락을 가져간 클라이언트가 정상적으로 락을 반납할 수 없다고 판단해 락을 회수하고 기다리고 있는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락을 제공할 수 있어야한다는 뜻입니다. 만약 이런 사실이 보장되지 않는다면 데드락이 발생했을 때 락을 사용하는 모든 요청을 처리할 수 없게되고 기다리다가 타임 아웃만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Liveness Property B는 여러 레디스 노드가 존재하는 경우, 일부 노드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클라이언트는 정상적으로 락을 획득하고 반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즉, 어느 정도의 결함 허용성(Fault Tolerance)를 지녀야 합니다.

단일 인스턴스로 구성된 레디스에서의 분산 락 구현

단일 인스턴스로 구성된 레디스를 사용해 분산 락을 구현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락을 획득할 때 키를 생성합니다. 만약 키가 이미 존재한다면 다른 클라이언트가 이미 락을 획득한 것이므로 키가 삭제될 때까지 기다립니다.
  • 락을 반납하면서 키를 삭제합니다. 키가 삭제되면 기다리고 있던 다른 클라이언트 중 하나가 락을 획득하게 됩니다.

만약 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키를 생성하는 연산이 원자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면 Safety Property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Liveness Property ALiveness Property B는 보장할 수 없습니다. 키를 획득한 클라이언트에 장애가 발생해 명시적으로 키를 삭제하지 못해 락은 (개념적으로)반납 되었지만 키는 여전히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레디스에서 제공하는 EXPIRES 기능을 사용하면 Liveness Property A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명시적으로 키를 삭제하지 못해도 시간이 지나면 레디스가 키를 삭제해주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Liveness Property B는 보장할 수 없습니다. 단일 인스턴스로 구성되어 있어 인스턴스 하나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레디스 전체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자 이제 위에서 구상한 방법을 실제로 사용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SET resource_name random_value NX PX 30000

NX 옵션은 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키를 생성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키 생성에 성공한 경우 OK 응답이 오고 키가 이미 존재해 실패한 경우 (nil) 응답이 오게 됩니다. 레디스는 싱글 스레드로 동작하며 들어온 명령어들을 순차적으로 처리해나갑니다. 즉, 명령어 하나하나의 실행이 원자성을 지닙니다. 따라서 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키를 생성하는 연산을 원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키 생성 여부 또한 알 수 있습니다. 키 생성에 성공해 OK 응답이 오면 락을 획득한 것입니다.

PX 옵션은 ms 단위로 키의 만료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X 3000030 초 뒤에 키가 만료되어 자동으로 삭제됨을 의미합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만료 시간을 설정함으로써 Liveness Property A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PX 대신 EX 옵션을 사용해도 됩니다.

SET 명령어에 사용할 수 있는 옵션들은 공식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키는 자원의 이름을 의미하며 락을 구분하는 단위입니다. 키 이름을 다르게 함으로써 하나의 레디스로 여러 분산 락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키에 저장되는 값은 무작위 값을 가집니다. 즉, 모든 클라이언트의 잠금 요청에서 고유한 값을 가져야 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 클라이언트 A가 DB(키 이름)에 대한 락을 획득합니다. 이 때 값은 1로 설정합니다.
  • 클라이언트 A가 DB에 대한 작업을 마무리한 뒤 키를 삭제합니다.
  • 클라이언트 B가 DB에 대한 락을 획득합니다. 이 때 값은 2로 설정합니다.
  • 클라이언트 B가 DB에 대한 작업을 마무리한 뒤 키를 삭제합니다.
  • 클라이언트 A가 DB에 대한 락을 획득합니다. 이 때 값은 3로 설정합니다.

값은 모든 요청에 대해서 무작위 값을 가져야 합니다. 정확히는 락을 기다리고 있는 클라이언트가 예측할 수 없는 값을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클라이언트마다 다른 값을 사용하는 것은 물론이고 같은 클라이언트라도 매 요청마다 설정하는 값이 달라져야 합니다.

이러한 무작위 값을 사용하는 이유는 락을 획득한 클라이언트만이 락을 반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클라이언트가 락을 획득해 키를 만들었다면 그 클라이언트가 키를 삭제해야합니다. 락을 기다리고 있는 다른 클라이언트가 임의로 키를 삭제해버려서는 안됩니다. 따라서 Lua 스크립트를 사용해 레디스에게 아래와 같이 요청을 보냄으로써 락을 반납해야 안전하게 락을 다룰 수 있습니다. Lua 스크립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공식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if redis.call("get", KEYS[1]) == ARGV[1] then
	return redis.call("del", KEYS[1])
else
	return 0
end

먼저 주어진 키로 값을 가져옵니다. 만약 키가 존재하지 않아 (nil)을 반환받거나 가져온 값이 ARGV[1]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즉, 키가 존재하지 않거나 다른 클라이언트가 획득한 락을 반납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0을 반환합니다. 만약 키가 존재하고 내가 획득했던 락이라면 키를 삭제하고 1(삭제한 키의 개수)를 반환합니다.

이는 Lua 스크립트를 사용해 키가 존재하고 내가 생성했던 키라면 키를 삭제한다는 동작을 원자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를 Ts로 구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Ts로 레디스 분산락 구현하기

먼저 레디스로 분산 락을 관리하는 RedisDLM을 만들어줍니다.

import {redis} from "./RedisWrapper";
import {v4 as uuidV4} from "uuid";
import {sleep} from "./util";

export class RedisDLM {

    constructor() {
        redis.defineCommand("releaseLock", {
            numberOfKeys: 1,
            lua: `
if redis.call("get", KEYS[1]) == ARGV[1] then
    return redis.call("del", KEYS[1])
else
    return 0
end
    `
        })
    }

    async acquireLock(key: string) {
        while (true) {
            const {identity, success} = await this.tryToAcquireLock(key)
            if (success) {
                return identity
            }
            await sleep(1000); // 실제로는 정해진 수만큼 락 획득을 시도하고 포기해야 합니다
        }
    }

    private async tryToAcquireLock(key: string) {
        const identity = uuidV4();
        console.log('call redis for acquire lock')
        const result = await redis.set(key, identity, "PX", 30000, "NX")
        return {
            success: result === 'OK',
            identity
        }
    }

    async releaseLock(key: string, identity: string) {
        console.log('call redis for release lock')
        const numberOfDeletedKey = await redis.releaseLock(key, identity)
        return {
            success: numberOfDeletedKey === 1
        }
    }
}


export const redisDLM = new RedisDLM()

ioredis에서는 사용자가 정의한 스크립트를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defineCommand 메소드를 제공합니다. 레디스에서 Lua 스크립트를 사용하기 위해서 EVAL 또는 EVALSHA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두 명령어의 차이는 레디스의 스크립트 캐시 여부에 있습니다. 매번 긴 스크립트를 전송하는 것보다 네트워크 대역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에 ioredis는 개발자가 모든 스크립트에 대해서 캐시 여부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코드를 수정하는 것은 매우 지루한 일이라며 defineCommand 메소드를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이 때 releaseLock이라는 레디스 명령어는 레디스에 원래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가 정의한 명령어이므로 그대로 Ts 환경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깃허브에 관련 이슈처럼 아래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import Redis, { Redis as RedisInterface } from 'ioredis';

// @ts-ignore
export const redis: MyRedis = new Redis();

interface MyRedis extends RedisInterface {
    releaseLock(key : string, value : string) : Promise<number>
}

따라서 아래와 같이 분산 락을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레디스는 로컬에 띄워서 사용했으며 같은 프로세스에서 분산 락을 테스트 했습니다.

import {redisDLM} from "./RedisDLM";
import {sleep} from "./util";

const procedure = async (clientId: string) => {
    console.log(`[${clientId}] Try to acquire lock`)
    const identity = await redisDLM.acquireLock("DB");
    console.log(`[${clientId}] success lock[${identity}]`)

    console.log(`[${clientId}] Do something`)
    await sleep(5000);


    console.log(`[${clientId}] Try to Release lock[${identity}]`)
    const {success: ReleaseSuccess} = await redisDLM.releaseLock("DB", identity)
    console.log(`[${clientId}] Release lock[${identity}] result : ${ReleaseSuccess}`)
}

procedure("Client A")
    .catch()

setTimeout(() => {

    procedure("Client B")
        .catch()
}, 1500)

이를 실행해보면 아래와 같다. Client A가 락을 반납해야 Client B가 락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써 간단하게 레디스를 사용해 분산 락을 구현할 수 있었다. 구현 자체는 매우 간단했지만 간단한만큼 2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첫 번째로 여러 개의 레디스 노드를 사용하는 경우 위 방법을 사용할 수 없다. 우선 단일 인스턴스로 구성된 레디스의 문제점은 바로 결함 허용성이 없다는 것이다. 만약 하나의 레디스 노드에 장애가 발생한다면 모든 서비스에서 레디스 자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되고 따라서 전사 장애로 이어질 것이다. 이는 치명적인 단점이고 따라서 서비스에서 분산 락을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면 절대로 단일 인스턴스로 구성해서는 안된다. 하지만 Slave를 추가해 레디스 클러스터를 사용해도 이를 해결할 수 없다.

레디스의 MasterSlave는 비동기적으로 복제된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 Client AMaster로부터 락을 획득합니다.
  • Master에 키가 생성됩니다.
  • Master에서 생성된 키가 Slave에 복제되기 전에 Master에 장애가 발생합니다.
  • SlaveMaster로 승격됩니다.
  • Client B가 락을 획득하려고 합니다.
  • Master가 된 이전 Slave 노드에 키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Client B는 락을 획득하고 Slave 노드는 키를 생성합니다.
  • 즉, Client AClient B 모두 락을 획득한 상태가 됩니다.

즉, 여러 인스턴스로 구성된 레디스에 대해서 Safety Property상호 배제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분산 락의 상호 배재성을 지키는 것이 아주 중요한 서비스라면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상호 배제성을 보장하기 위해 단일 인스턴스로 구성된 레디스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가끔 상호 배제성어겨지는 것이 괜찮은 서비스라면 위에서 이야기 한 솔루션을 사용하는 것도 괜찮은 선택일 수도 있습니다. 간단하고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 문제는 락을 기다리는 과정이 비효율적이라는 것입니다. 락을 획득하기 위해서 기다리는 과정이 spinlock과 유사하기 때문입니다.

위에서 진행한 테스트에서 알 수 있듯이 Client B는 락을 획득하기 위해 1초마다 레디스에게 요청을 합니다. 만약 1초 걸리는 요청에 대해 50ms마다 질의를 할 때 요청이 100개가 동시에 들어왔다면 거의 10,000번 레디스에게 요청을 하게 됩니다. 이는 하나하나 명령어를 처리하는 레디스 특성 상 엄청난 부하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질의 간격을 줄이게 된다면 그만큼 요청에 대한 처리 시간도 길어지고 대기 시간도 길어지게 됩니다. 자바의 레디스 클라이언트인 Redissonpubsub 기능을 활용해 락을 반납할 때 기다리고 있는 클라이언트들에게 알림으로써 레디스 부하를 엄청나게 줄일 수 있었습니다.

결론

지금까지 단일 인스턴스로 구성된 레디스에서의 분산 락 구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비록 여러 개의 인스턴스로 구성된 레디스 클러스터에서 사용할 수 없고 비효율적인 면은 있지만 그만큼 간단하고 구현이 간편해 완벽한 정합성이 필요한 서비스가 아니라면 고려해볼 만한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장애 대응을 위해 여러 개의 레디스를 사용해야 한다면 공식 문서에서 소개하는 Redlock을 읽어보거나 이를 구현한 라이브러리를 찾아보면 될 거로 생각합니다.